탄소중립인증2 KCER 신청을 위한 실제 서류와 절차 리스트 – 실무자용 체크리스트 정리 서론 – 탄소감축 실적을 ‘자산’으로 만들기 위한 첫 단추탄소중립을 향한 정책적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, 기업과 기관이 탄소감축 실적을 어떻게 공식적으로 인정받느냐는 점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. 감축 실적을 데이터로만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, 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증한 ‘자산’ 형태로 등록해 거래하거나 보고에 활용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탄소경영이 가능해진다. 대한민국에서는 그 실적을 공식화하는 제도로 KCER(Korea Certified Emission Reduction)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. 하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과 실무자들이 이 제도의 신청 방식, 제출해야 할 서류, 소요되는 절차를 잘 알지 못한다. 이 글에서는 KCER 등록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할 문서, 절.. 2025. 4. 3. 탄소세, 탄소배출권, 탄소중립 인증? 헷갈리는 탄소 개념 쉽게 정리해봄 서 론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면서 탄소세, 탄소배출권, 탄소중립 인증 같은 용어들이 뉴스와 기업 보고서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이 개념들은 이름은 비슷해도 작동 방식과 정책 목적은 각각 다르며,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탄소를 줄이기 위한 수단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, 누가 사용하고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핵심 탄소 개념의 차이와 실제 쓰임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 탄소세란? 탄소에 가격을 매기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탄소세는 말 그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데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. 기업이 공장이나 발전소에서 이산화탄소를 많이 내보낼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하는 구조로, 온실가스 배출에 경제적 책임을 직접 물음.. 2025. 3. 30. 이전 1 다음